분류 전체보기
-
금리의 기간/복리와 단리를 알아보자금융정보/01.유가증권(주식 채권 등) 2020. 7. 9. 02:05
1. 천만 원 맡기면 17만 원 번다? 금리 1.7% 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신문기사 헤드라인처럼 "1000만 원 맡기면 17만 원을 받겠거니 " 생각한다. 그런데 금리 1.7 %로 얼마 동안 맡겨야 1000만 원이 17만 원이 될까? 위에 표처럼 금리가 7일/1개월/2개월 등으로 나타내기도 하는데 그럼 1.7% 는 몇 개월 기준으로 나타낸 금리일까? 2. 금리의 표시기준: 1년 위 표는 리보(LIBOR)라는 금리의 기간별 표로 런던에서 통화별 은행간 단기 자금거래 시 적용되는 금리이다. 위 표를 "유심히" 보면 기간이 길어질수록 금리가 올라가는 것을 찾을 수 있다. 이를 보고 "적용되는 기간이 길어지니까 당연히 금리가 커지는구나" 라고 생각하면 "유심히" 틀린 생각을 하는 것이다. 위 표에서 7일 금리 ..
-
금리와 환율의 관계를 알아보자금융정보/01.유가증권(주식 채권 등) 2020. 7. 8. 01:21
1. 금리와 함께 춤추는 환율 뉴스에서 한국의 기준금리 변동 조건에 환율의 안정성이라는 단서가 붙는 것을 심심치 않게 확인할 수 있다. 네이버에서 "금리와 환율"이라고 검색만 해봐도 이 두 지표가 얼마나 밀접한 관계가 있는지 알 수 있다. 하지만 이 관계를 고려할 때 한국 금리, 외국 금리, 환율 표시의 기준통화 등 여러 가지를 고려하다 보면 헷갈리기 마련이다.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환율과 금리의 관계를 직관적으로 파악하는 법을 살펴보려고 한다. 2. 이자율 평형 정리를 통한 환율과 이자율의 이해 1) 기본가정 이자율 평형 정리는 여러 가지 방식으로 나타낼 수 있겠지만 아래와 같이 생각하기로 한다. 이때 환율(E)은 보통 내국 통화/외국통화로 (ex. 원/달러)로 표시하기 때문에 위 식의 오른쪽 부분이 ..
-
비드(BID)-애스크(ASK) 를 알아보자금융정보/03.외환(FX) 2020. 7. 7. 01:16
1. 고객이 사실 때 / 고객이 파실 때 은행의 환율 전광판을 보면 항상 "고객이 사실 때" 가격과 "고객이 파실 때" 가격이 나누어져 있다. 인터넷 사이트에서 환율을 검색해도 매매기준율에 사실 때/ 파실 때 가격이 나누어져 있다. 이것은 무엇을 기준으로 정해지는 것일까? 둘 중 무엇이 BID 가격이고 무엇이 ASK 가격일까? 2. BID 와 ASK 결론부터 말하면 ASK 가 고객이 사실 때이고 BID 가 고객이 파실 때이다. 그런데 금융기관(딜러) 입장에서는 반대다. ASK는 딜러 입장에서는 매도호가이고 BID는 딜러 입장에서는 매수호가이다. 같은 BID와 ASK인데 고객 입장과 딜러 입장이 다르다 보니 슬슬 헷갈리기 시작한다. 하지만 매수/매도에 집중하지 않고 물량을 누가 들고 있는지에 집중한다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