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정보/03.외환(FX)
-
NDF(NonDeliverableForward) : 역외선물환의 이해금융정보/03.외환(FX) 2023. 7. 18. 05:26
선물환의 일반적인 거래 방식 선물환은 일반적으로 아래 그림 1과 같은 과정을 거친다. 정해진 만기일에 정해진 환율로 통화간 결제를 약정한 뒤 만기일에 약정한 금액만큼의 원금을 그대로 주고받는다. 아래 그림 1에서 USD 달러를 매도하는 입장에서 만기일에 시장 환율이 오르면 가치가 올라간 USD 달러를 제 값을 못 받고 팔기 때문에 거래손실이 날 것이고, 시장 환율이 떨어지면 가치가 내려간 USD 달러를 고정된 가격에 팔 수 있기 때문에 거래이익이 날 것이다. 그림 1의 일반적인 선물환 거래의 원금은 보통 결제통화가 속한 국가의 은행 계좌를 통해 결제된다. 그림 1에서 USD 달러는 거래 당사자의 미국 계좌에서 결제가 일어나고, KRW 원화는 한국의 계좌(보통 한국은행 계좌)에서 결제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
위안화는 CNY 인가? CNH 인가?금융정보/03.외환(FX) 2023. 2. 16. 07:22
위안화의 표기 일반 금융기관 사이트에서 위안화 환율을 조회하면 대부분 CNY라고 표기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종종 어떤 사이트에는 위안화를 CNH 로 표기하기도 한다. 같은 위안화인데 그냥 사이트 만든 회사마다 표기법이 다른 것일까? 이를 알기 위해서는 중국의 환율제도부터 알아야 한다. 중국의 관리변동환율제도와 위안화 시장 분리 중국은 정부가 환율의 범위를 정해놓고 환율을 조정하는 관리변동환율제도이다. 중국 역내 시장에서 위안화 환율은 중국정부의 통제하에 있는 것이다. 하지만 역외 시장인 홍콩에서는 관리변동환율제도가 적용이 안된다. 수요와 공급 법칙에 의해서 위안화 시세가 결정되는 것이다. 즉, 같은 통화라도 적용되는 제도가 다르고 거래되는 시장이 다른 것이다. 그 결과 위안화는 CNY(역내)와..
-
환율의 기초: 현물환과 선물환의 차이금융정보/03.외환(FX) 2022. 8. 30. 07:06
외환 거래일과 결제일의 구분 환전 거래만 하는 우리들은 외환 거래일 당일이 결제일이므로 거래일과 결제일을 구분하지 않는다. 하지만 외국환 매입/매도 거래는 거래가 오늘이라도 결제는 하루 뒤, 이틀 뒤, 혹은 한 달 뒤 일 수 있다. 사람들은 거래일과 결제일이 얼마나 차이 나는지에 따라서 외국환 매입/매도 거래를 현물환/선물환으로 나눠놓았다. 현물환의 의미 일반적으로 외국환 매입/매도 계약일 ~ 2영업일 이내 인 것을 현물환 그 이외의 것을 선물환으로 알고 있다. USD/KRW, GBP/KRW 등과 같이 외화/원화 거래에서는 맞는 말이지만 실제적으로는 거래하는 통화 쌍마다 다를 수 있다. 통화쌍 별로 현물환, 선물환을 구분하는 기준이 다른데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현물환 거래의 결제 방식 대부분의 통화쌍이..
-
선물환 가격 결정 방법 : 스왑포인트의 이해금융정보/03.외환(FX) 2020. 8. 5. 00:38
1. 가깝고도 먼 선물환의 개념 선물환은 사실 매우 친숙한 용어이다. 그리고 수없이 많은 검색 매체에서 선물환 거래의 개념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 이를 종합하면, 선물환은 보통 미래의 시점에 특정한 가격에 특정한 금액을 거래하는 것으로 설명된다. 그리고 보통은 무슨 농산물 선물 거래 등의 사례로 이어진다. 미래에 어떤 물건을 가격을 정해놓고 사고파는 건 정말 많이 들어서 알겠는데, 도대체 이런 거래는 어떻게 이루어지고 어디에서 이루어진단 말인가? 우리가 어떤 상품을 미리 사고파는 계약을 하느냐에 따라서 거래 방식과 거래 장소가 달라지지만 이 글에서는 선물환에 국한해서 보겠다. 선물환에 국한해서 보면, 보통 이런 거래들은 미래에 달러를 대량으로 주거나 받게 될 수출/수입업체들이 주로 한다. 그리고 이런 ..
-
선물환 계약으로 어떻게 환 위험이 없어지는 걸까?금융정보/03.외환(FX) 2020. 8. 2. 22:35
1. 선물환 계약을 하면 환 위험이 없어진다? 우리나라 기업의 수출, 수입을 언급할 때 늘 동반되는 개념이 환위험이다. 선물환 계약으로 환위험을 관리한다는 말은 익숙하지만 나 같은 인문학 전공자가 이해하기엔 구체적인 과정이 와 닿지가 않는다. 선물환 계약으로 환율을 고정시켜 놓으면 환율 상승 시에 이득을 못 보니까 똑같이 위험한 것 아닌가?라는 의문도 든다. 선물환 계약으로 환위험이 관리가 되기는 할까? 2. 환포지션의 개념: 통화별 외화자산과 외화부채의 차이 환포지션 하면 무슨 롱이니 숏이니 이런 말들이 쭉 검색된다. 하지만 환포지션은 복잡하게 생각할 것 없이 "통화별 외화 자산과 부채의 차이"로 이해하면 된다. 내가 여행간다고 원화 주고 USD 500 불 환전했으면, 내가 가진 외화자산은 USD 50..
-
[재테크상식]우리는 FX거래로 돈 벌 수 있을까?금융정보/03.외환(FX) 2020. 7. 26. 17:03
1. 요즘 HOT 한 FX마진 거래 요즘 FX마진거래 광고가 유행이다. 마치 틱톡 어플 광고처럼 "FX마진거래 대박"이라는 광고를 쉽게 볼 수 있다. 실제로 사람들이 많이 하는지는 모르겠지만 어쨌든 뭔진 모르겠지만 익숙하다. 사실 나 같은 순수 인문학 전공자들은 FX가 뭔지도 모르고 마진거래가 뭔지도 모른다. 그래서 보통은 광고를 꺼버리지만 몇몇 강심장인 사람들은 혹은 광고에 혹한 사람들은 일단 눈 딱 감고 FX마진거래에 뛰어든다. 하지만 눈 딱 감고 뛰어들다가 한강에 뛰어들 수 있기 때문에, 들어가기 전에 "FX" 거래 "마진거래" 이 두 단어의 의미만이라도 알아두고 뛰어들자. 이 글에서는 먼저 "FX"거래의 의미와 "FX"거래에서 우리가 99% 패배할 수밖에 없는 이유를 생각해 보겠다. 2. 자연스럽..
-
비드(BID)-애스크(ASK) 를 알아보자금융정보/03.외환(FX) 2020. 7. 7. 01:16
1. 고객이 사실 때 / 고객이 파실 때 은행의 환율 전광판을 보면 항상 "고객이 사실 때" 가격과 "고객이 파실 때" 가격이 나누어져 있다. 인터넷 사이트에서 환율을 검색해도 매매기준율에 사실 때/ 파실 때 가격이 나누어져 있다. 이것은 무엇을 기준으로 정해지는 것일까? 둘 중 무엇이 BID 가격이고 무엇이 ASK 가격일까? 2. BID 와 ASK 결론부터 말하면 ASK 가 고객이 사실 때이고 BID 가 고객이 파실 때이다. 그런데 금융기관(딜러) 입장에서는 반대다. ASK는 딜러 입장에서는 매도호가이고 BID는 딜러 입장에서는 매수호가이다. 같은 BID와 ASK인데 고객 입장과 딜러 입장이 다르다 보니 슬슬 헷갈리기 시작한다. 하지만 매수/매도에 집중하지 않고 물량을 누가 들고 있는지에 집중한다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