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매수호가와 매도호가금융정보/01.유가증권(주식 채권 등) 2025. 4. 25. 23:05반응형
매수호가
주식거래를 할 때 HTS나 MTS 창을 보면 아래 그림 1과 같이 가격이 쭉 나열되어 있는 것이 보인다. 보통 표시한 부분의 아래쪽 부분이 매수호가를 나타내고 위쪽 부분이 매도호가를 나타낸다. 그리고 각각 매도호가 왼쪽, 매수호가 오른쪽에 있는 숫자는 호가별 주문량을 나타낸다.
그림1: 샘표주식 매수호가 매도호가 창 예시 매수호가(Bid Price)는 구매자가 지불하고자 하는 최대 가격이다. 거래자는 기본적으로 싸게 사고 싶어 하는데, 그중에서도 가장 비싼 가격을 제시한 사람들과 거래가 성립된다.
매도호가
매도호가(Ask Price)는 판매자가 받으려는 최소 가격이다. 거래자는 기본적으로 비싸게 팔고 싶어파는데, 그중에서도 가장 비싼 가격을 제시한 사람들과 거래가 성립된다. 아래 샘표 주식 호가창 샘플로 생각해 보자. 아래 그림 2의 호가창에서 41,800에 200 주 매수 주문이 나오면, 체결되고 남은 41,800의 62 주(200주 - 138주)가 매수호가가 된다. 매도호가는 41,800의 138 주가 모두 채결되었으므로 41,850의 675 주가 최종 매도호가로 바뀐다.
그림2: 거래시 호가창 변경 스프레드
스프레드는 매수호가와 매도호가의 가격차이를 의미한다. 스프레드가 크다는 것은 판매자가 받으려는 가격(매도호가)과 구매자가 지불하고자 하는 가격(매수호가)가 차이가 많이 난다는 것이다. 그 결과 성사되는 거래가 줄어들게 되고, 시장에서의 거래량이 적어진다. 시장에 거래량이 적다는 것은 시장에 돈이 덜 들어온다는 것이고, 유동성이 부족한 시장이라는 해석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가격이 오르는 것을 기대하기는 쉽지 않다. 따라서 상승주라도 스프레드가 큰 상황이라면 일단 의심해봐야 한다.
반응형'금융정보 > 01.유가증권(주식 채권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동평균과 이동평균선은 무엇일까?-개념과 종류 (3) 2025.05.10 미국 기준금리 예측 : CME FedWatch Tool (0) 2025.03.25 수정종가의(Adjusted Closing Price) 의미와 활용 (2) 2025.02.02 미국 주요 ETF top 5 분석하기(미국 ETF 추천) (0) 2024.07.14 코스피와 코스닥의 차이는 무엇일까? (0) 2024.0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