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재테크상식]ETN은 왜 거래될까?금융정보/01.유가증권(주식 채권 등) 2020. 10. 4. 19:05반응형
1. 투자자 입장에서 ETF와 ETN은 거의 동일하다.
ETF와 비슷한 이름을 가진 수많은 상품들이 있지만 ETN은 정말 ETF와 비슷하다. 각 상품이 제시하는 기초지수에 기반해서 수익률이 산출된다는 점, 주식처럼 거래소에 상장되어 거래가 되므로 사고팔기 쉽고, 다양한 정보가 투명하다는 점에서 그렇다. 이렇게 기초지수에 기반해서 수익을 얻는다는 수익구조가 이렇게 같다면 우리는 ETN에 투자할 이유가 있을까? 문송한 나도 알고 있는 것처럼 ETF는 시장 규모가 훨씬 크고 종류도 다양하며, 무엇보다 우리에게 익숙하다. 도대체 두 상품의 무슨 차이점이 ETN 시장을 존재하게 하는 것일까?
2. ETF와 ETN의 핵심적인 차이점: ETN이 거래되는 이유
1) ETF와 ETN의 차이점
구분 ETN ETF 증권의 종류 파생결합증권 집합투자증권 발행자 신용위험 있음 없음 만기 존재 없음 운용자유도 상대적으로 자유 운용제약 존재 표1: ETN/ETF 차이 ( 출처: 한국거래소( open.krx.co.kr/ ) 20.10.04 인용 )
차이점을 하나하나 자세히 살펴보자. ① 증권의 종류가 파생결합증권, 집합투자증권으로 나뉘지만 그건 ETF 가 펀드라서 그럴 뿐이고 둘 다 "기초자산의 가격 변동과 연계되어 이익을 얻는다"는 성질은 공유하고 있다. ② 다만 ETN은 Equity Traded Note 로서 채권의 성질을 갖는데, (Note 가 채권이라는 뜻이다. ) 기초자산에서 수익이 나면 발행한 증권사가 그 분배금을 투자자에게 주는 방식이다. 반면, ETF는 Fund로 모인 돈의 덩어리를 하나의 법인으로 생각하면 된다. 즉, 어떤 발행주체가 개입되는 것이 아니라 펀드에서 수익금이 나오면 그것을 분배해 주는 형식이 된다. ③ ETN 이 가진 두 번째 채권으로서의 성질은 만기가 존재한다는 사실이다. ( 우리가 돈을 빌려주면 늘 언제까지 갚으라고 하듯이 ) 반면, ETF에 투자하는 것은 Fund로 모인 하나의 법인에 소유권을 일부 가지는 것으로서 ( 개인 투자할 때 지분투자하듯이 ) 만기가 따로 없다. ④ 마지막으로 ETN 은 ETF 보다 운용이 조금 더 자유롭다. 기초자산으로 편입해야 하는 자산의 수도 적고, 증권사의 신용에 기대는 측면이 있기 때문에 운용 자체에서의 규제가 상대적으로 적은 것이다.
추가적으로 수수료와 세금문제를 생각할 수 있는데, 일단 한국거래소에서도 ETF/ETN/ELW를 묶어서 증권상품으로 소개하고 있으며, 여러 증권사들이 이 세 가지 상품의 수수료를 묶어서 금액 기준으로 수수료를 부과하고 있다. 세금에서도 증권거래세 비과세 되는 부분, 양도소득세 적용 부분 등에서 동일하게 보면 된다. 즉, ETF/ETN 은 세금과 수수료에서도 차이가 없다는 뜻이다.
2) ETN이 거래되는 이유
위 4 가지 차이점에서 먼저 눈에 띄는 부분은 ETN이 채권의 성질을 가져서 발행자인 증권사의 신용위험과 만기를 가진다는 사실이다. 하지만 사실 증권사가 크게 망할 위험이 높지도 않고, 만기라고 해봐야 20년 짜리까지 있기 때문에 이 차이점은 핵심적인 부분이 아니다. 중요한 것은 "④ 운용의 자유도" 와 그에 따른 기초자산의 이다. 현재 KRX에서 ETF와 ETN의 종합시세 대상 종목들의 기초자산을 비교해 보면 확연히 알 수 있다.
그림1: ETN/ETF 기초자산 비교( 출처: 한국거래소(http://marketdata.krx.co.kr/) 20.10.04 인용 ) 대충 봐도 ETF 에는 기초자산이 "KRX반도체", "코스피 50" 등인 반면, ETN에는 기초자산이 "엔선물", "코스피 200 월별 양매도 3% OTM" 같은 생소한 것들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결국 ETN은 다양한 전략으로 ( 변동성에 투자한다든지 하는 쫌 더 위험한 전략 ) 투자를 하고 싶은데, 직접 파생거래하기는 부담스럽고, ( 증거금도 내야 하고 각종 제약들 ) 일반 펀드 수수료보다는 싸게 비용을 내고 싶은 투자자들이 주 수요층이라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들은 단순 특정 지수를 선형적으로 추종하는 상품에 투자하려는 ETF 수요층과는 또 다르게 더 위험한 것을 추구하는 투자자들이라고 할 수 있다.
3. 우리는 ETN을 할 필요가 있을까?
우리같은 문송한 투자자들에게 ETN은 반드시 필요한 상품일까? 개인적으로는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ETN이 발행한 증권사의 신용위험이 있어서가 문제도 아니고, 만기가 존재해서도 아니다. 이런 문제들은 개인적으로 봤을 때는 핵심적인 문제들은 아닌 것 같다. 우리가 ETN에 굳이 눈을 돌릴 필요가 없는 진짜 이유는 ETF가 우리에게 ETN보다 매우 익숙하고, ETF 거래가 시장에서 훨씬 활성화되어 있기 때문이다.
20.10.04 기준으로 KRX 종합시세에 나오는 ETN의 기초자산 종류는 약 173 개 ETF 의 기초자산의 종류는 약 288 개이다.굳이 ETN으로 눈을 돌리지 않더라도 ETF는 충분히 우리의 투자 요구를 충족시켜줄만한 기초자산들을 제시하고 있다는 이야기가 되는 것이다.
결론: ETN은 우리같은 일반 투자자에겐 TOO MUCH
반응형'금융정보 > 01.유가증권(주식 채권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듀레이션의 두 가지 의미: MacD 와 ModD (0) 2021.01.17 BIS비율은 무엇을 말하고 있는가? (0) 2020.12.22 [재테크상식]RP(환매조건부채권)를 알아보자! (0) 2020.10.04 PER과 PBR 은 진짜 쓸모가 있는 지표인가? (0) 2020.08.12 [재테크상식]요즘 ETF가 대세인 이유 ! (0) 2020.08.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