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옵션이해의 기초:GREEKS(옵션민감도)의 이해금융정보/02.파생상품 2020. 10. 20. 02:33
1. 생각보다 우리 생활 가까이에 있는 옵션 옵션하면 바로 연결되는 단어는 "파산", "파국"이다. 위 기사처럼 실제로 옵션이 "파산"을 만드는 경우도 자주 있다. 그래서 우리들은 옵션을 우리 일상과는 거리가 먼 상품의 형태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생각보다 우리가 접하는 많은 것들에 옵션이 녹아있다. 아파트 분양권은 계약금을 지불하고(프리미엄) 일정한 가격에 아파트를 살 수 있는 콜옵션의 한 형태이고, 우리가 증권사에서 가입하는 ELS 등의 상품에도 모두 옵션이 녹아있다. 다만 많은 경우 단순히 옵션 상품 하나로만 이루어지지 않고, 기초자산 매수매도와 섞여 있어서 바로 인지할 수 없을 뿐이다. 그래서 우리가 실제 장내 옵션거래나 ELW를 하든 안 하든 옵션의 기초적인 성질 정도를 파악해 둘 필요가 있다. ..
-
[재테크상식]ETN은 왜 거래될까?금융정보/01.유가증권(주식 채권 등) 2020. 10. 4. 19:05
1. 투자자 입장에서 ETF와 ETN은 거의 동일하다. ETF와 비슷한 이름을 가진 수많은 상품들이 있지만 ETN은 정말 ETF와 비슷하다. 각 상품이 제시하는 기초지수에 기반해서 수익률이 산출된다는 점, 주식처럼 거래소에 상장되어 거래가 되므로 사고팔기 쉽고, 다양한 정보가 투명하다는 점에서 그렇다. 이렇게 기초지수에 기반해서 수익을 얻는다는 수익구조가 이렇게 같다면 우리는 ETN에 투자할 이유가 있을까? 문송한 나도 알고 있는 것처럼 ETF는 시장 규모가 훨씬 크고 종류도 다양하며, 무엇보다 우리에게 익숙하다. 도대체 두 상품의 무슨 차이점이 ETN 시장을 존재하게 하는 것일까? 2. ETF와 ETN의 핵심적인 차이점: ETN이 거래되는 이유 1) ETF와 ETN의 차이점 구분 ETN ETF 증권의 ..
-
[재테크상식]RP(환매조건부채권)를 알아보자!금융정보/01.유가증권(주식 채권 등) 2020. 10. 4. 02:28
1. 환매조건부 채권? RP? Repo? 정부 홈페이지 중에서 "국채시장"이라는 홈페이지가 있다. 이 홈페이지에서 국채 연관시장으로서 환매조건부 채권매매시장을 정의하고 있다. 환매조건부 시장은 약자로 RP라고도 적는데, Repurchase Agreements(Repo)라는 영어의 약자이다. 단순히 정의하면, 채권을 다시 사는 조건으로 판다는 이 계약은 ( 채권을 다시 살 거면 왜 파는 거지?라는 질문이 바로 든다. ) 국고채 외에도 다양한 채권을 기반으로 발전되어 왔다. 시장 거래량도 일 단위로 몇 조원 되는 것으로 알고 있다. 도대체 "단순히 채권을 다시 사는 조건으로 판다"는 이 거래가 정확히 무엇이길래 시장이 이렇게 큰 것일까? 그리고 이것이 우리의 투자와 연관이 있기는 한 걸까? 2. RP 의 거..
-
샤프지수(Sharpe Ratio): 얼마나 덜 쫄리게 많이 벌었나?금융퀀트/자산평가&프로그램매매 2020. 9. 27. 17:39
1. 내 투자자산은 얼마나 성과를 내었나? 우리 같은 일반인들은 보통 투자할 때 수익률을 주로 본다. 아니 수익률만 본다. 떡락과 떡상을 반복하며 마음 졸였던 지난날들은 붉은색 ( + ) 수익 표시에서 눈 녹듯이 사라진다. 혹은 푸른색 ( - ) 표시만 보고 그동안의 떡락과 떡상은 생각도 안 하고 존버만을 기약하기도 한다. 하지만 진짜 투자자산의 성과는 위험이라는 변수를 고려해야 한다. 그리고 투자에 있어서 이 위험이라는 변수는 보통 표준편차라는 것으로 측정한다. 중고등학생 때의 기억을 떠올려 보면 뭐 평균에서 얼마나 떨어져 있는가? 에 대한 분포를 측정하는 것이라고 한다. 우리가 알아야 할 것은 이 표준편차가 크면 클수록 변동성이 크다는 뜻이고 ( 변동성이 크면 클수록 투자자인 우리들의 심장은 쫄깃해진..
-
투자의 위험은 무엇인가? : 신용리스크금융정보/04.대체투자(부동산, 코인 등) 2020. 9. 23. 00:25
1. 신용위험과 시장위험 우리가 "투자"라는 행위를 할 때 일반적으로 직면하게 되는 리스크는 "시장 리스크"이다. ( 자세한 내용은 투자의 위험은 무엇인가? : 시장 리스크를 참조하자) 보통 우리는 어떤 시장 가치가 있는 것을 사고, 내 자산을 그 가격 변화라는 위험에 노출시키기 때문이다. 하지만 우리는 그 외에도 다양한 리스크에 직면하고 있다. 시장 리스크 외에 우리가 직면하는 대표적인 리스크가 "신용 리스크"이다. 문송한 우리들은 보통 신용리스크 하면 아래와 같은 기사들이 떠오를 것이다. "채권회수", "빌린 돈 찾아오기" 등의 것들 말이다. 그리고 남에게 직접 돈을 빌려주지 않는 이상 우리는 "신용 리스크" 에는 노출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 우리가 은행에 돈을 빌리면 빌렸지... ) 하지만 우리..
-
투자의 위험은 무엇인가? : 시장리스크금융정보/04.대체투자(부동산, 코인 등) 2020. 9. 2. 23:40
1. 우리가 투자할 때 도사리는 위험들 문송한 우리들이 "투자"라는 말을 들을 때 가장 먼저 떠올리는 말이 "위험"이다. 우리는 투자를 할 때 어떠한 위험을 감수하고 투자를 해야 한다고 늘 생각한다. 그리고 우리는 어떤 위험이 높기 때문에 투자에 실패한다는 것을 느낀다. 그러나 그 위험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인지하지 못한 채 쉽게 흑우가 되어버린다. 따라서 우리는 우리가 투자할 때 직면하는 위험을 제대로 알 필요가 있다. 이 글에서는 우리가 투자할 때 직면하는 다양한 위험 중 시장 리스크에 대해서 자세하게 살펴보려고 한다. 2. 내가 가진 자산의 가치 변동 위험: 시장리스크 먼저, 우리는 위험(risk)이라는 말의 의미를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검색을 해보면, 많은 사람들이 위험을 정의하고 있다. 온갖 ..
-
[재테크상식]ELS의 변형: 기초자산이 여러 개인 ELS와 DLS금융정보/02.파생상품 2020. 9. 1. 00:25
1. ELS는 뭐고 DLS는 뭘까? 작년 여름쯤 투자자들 사이에서 가장 핫 한 이슈는 금리연계 DLS 사태일 것이다. 그 유명한 "독일이 망하지 않는 한 안전하다"는 말과 함께 원금 손실 속에서 DLS 사태는 마무리되는 것으로 보인다. ( 법적인 문제 제외하고 상품만 봤을 때 ) DLS라는 상품이 있고 이 상품이 사실상은 안전하지 않아서 손실이 났다는 것까지는 쉽게 이해가 된다. 하지만 우리 문송한 투자자들은 이 기사만 보고서 겁먹고 DLS라는 상품을 피할 것인가? DLS가 똥인지 된장인지 제대로 알고, 피할 때 피하고 맛볼 땐 맛봐야 하지 않을까? 2. ELS의 변형 1) DLS DLS는 사실 ELS와 똑같다. 둘 다 결국은 고객이 ELS/DLS 판매자에게 옵션을 파는 상품이다. ( 상세한 내용은 [재..
-
리보(LIBOR) 폐지 이슈 분석: 2022년 무슨 일이 일어날까?최신이슈 2020. 8. 30. 21:07
1. 리보(LIBOR) 2022년 산출 중단 2022 년 리보(LIBOR) 금리 산출이 중단된다고 한다. 이게 사실 글로벌한 사건이고, 큰 일인데 생각보다 이슈화가 안 되어 있다. 다른 나라에서 시작한 질병이 우리의 일상생활도 마비시키는 이 시대에 리보(LIBOR) 금리 산출 중단은 우리 같은 일반 투자자들에게도 큰 영향을 줄 수 있을까? 2. 리보(LIBOR)는 무엇인가 1) 리보(LIBOR)의 정의 리보(LIBOR)가 런던에서 은행끼리 자금 거래할 때 쓰는 단기 금리라는 정의 정도는 일반적인 상식이다. 하지만 이 리보(LIBOR) 폐지 이슈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선, 단기가 얼마 정도의 기간인가? 리보(LIBOR)는 모든 통화에 적용되는 것인가? 에 대한 답이 선행되어야 한다. 리보(LIBOR)가 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