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1장] ISL with R 소개기초지식/ISL with R(통계학) 2020. 8. 28. 00:31
1. 들어가며 ISL( An Introduction to Statistical Learning with Applications in R ) 은 머신러닝에서 비교적 기초 이론서로 알려져 있다. 계속 읽으려고 하다가 의지가 안 생겨서 블로그에 후기 남기면서 읽으면 쫌 속도가 날라나... 해서 블로그에 한 장씩 읽을 때마다 소감 비슷하게 쓰려고 한다. 사실 책 내용을 각 장마다 요약해서 블로그에 올리고 싶은데 그럼 저작권의 철퇴를 피해갈 수가 없을 것 같아서 이 책에서 얻은 지식과 일반적으로 퍼져 있는 지식을 조합해서 간단한 소감 정도만 적을 수 있을 것 같다. 그럼 다음 주부터 시작해야겠다. 2. 목차 1장 Introduction 2장 Statistical Learning 2.1 What is statist..
-
나는 누구와 거래하고 있는가?: 브로커와 딜러의 이해금융정보/04.대체투자(부동산, 코인 등) 2020. 8. 26. 21:55
1. 나는 브로커와 거래하는가 딜러와 거래하는가? 경제적으로 자유로워지고 싶은 우리들은 오늘 아침에도 HTS를 켠다. 구로공단에서 액세서리 만드는 김 사장님은 수출대금 받을 걸 감안해서 선물환 거래를 은행이랑 한다. 하루에도 수없이 이루어지는 금융 거래 속에서 우리는 브로커와 거래를 할까? 딜러와 거래를 할까? 이 문제는 대단히 중요한 문제이다. 브로커와 딜러가 이익을 취하는 구조가 완전히 다르기 때문에 소비자 입장에서 이 둘의 이익 구조를 완벽히 이해해야 현명한 선택을 할 수 있다. 2. 브로커의 수익구조 브로커를 사전으로 검색하면, 상행위를 매개한다느니 하는 용어들이 나온다. 순수 인문학 전공자의 관점에서 풀어서 말하면, 브로커는 결국 자기 이름으로 사거나 판 내역이 하나도 없는 사람이다. 자기 이름..
-
[재테크상식]우리는 정말 분산투자를 하고 있을까?금융정보/04.대체투자(부동산, 코인 등) 2020. 8. 23. 02:05
1.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마라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마라" 너무나 유명한 말이다. 전문가라 불리는 사람들은 이 계란과 바구니의 비유로 시작해서 "분산투자", "위험을 분산시켜야 한다."는 말을 장황하게 늘어놓는다. 하지만 나 같은 문송한 투자자들이 정말 궁금한 건 도대체 계란이 뭔지, 바구니는 어떻게 구분해야 하는지에 대한 이야기이다. 왜냐하면 보통의 문송한 나같은 투자자들은 주식 투자할 때도 그냥 종목을 나누기만 하면, 돈을 예금과 펀드로 나누기만 하면, 분산투자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삼성전자랑 하이닉스 주식 사고 분산투자했다고 흐뭇하게 웃을 수 있다. 하지만 이렇게 종목을 단순히 나누는 것은 전혀 분산투자가 될 수 없다. 위험이 전혀 분산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
임대차 보호법 이슈: 전세 보증금은 어디까지 오를까? 전세는 사라질까?최신이슈 2020. 8. 19. 23:15
1. 주택임대차 보호법 개정 요즘 대한민국이 뜨겁게 달궈지고 있다. 날씨 때문이 아니라 땅 값이 너무 많이 뛰어서 땅이 정말 달궈지는 느낌이다. 정말 연봉 몇 십억씩 받는 사람들, 사업가, 금수저 물고 태어난 친구들은 논외로 하자. 우리같이 흙수저 물고 태어나서 문송한 학과 졸업해서 겨우 밥 벌어먹고사는 사람들은 집사는 건 꿈도 못 꾸게 되었다. 그런데 집 못 사는 현실을 겨우 받아들이려니 이제 전세도 없어진단다. 그리고 그 중심에 최근 개정된 "주택임대차 보호법"이 있다. 여러 가지 매체에서 정리한 내용이 쏟아지니까 "주택임대차 보호법"의 핵심만 간단하게 짚고 넘어가자. ① 세입자가 계약 갱신 요구하면 집주인이 거의 거절 못 함. ( 첫 갱신 시 + 추가 임대차기간 최대 2년 ) ② 집주인이 자기가 살..
-
[재테크상식]우리는 레버리지 투자를 하고 있는가?금융정보/04.대체투자(부동산, 코인 등) 2020. 8. 17. 18:03
1. 무서운 레버리지 투자 우리 같은 문송이들은 '레버리지' 하면 겁부터 난다. 그 이유는 레버리지(Leverage)가 지렛대니, 내가 투자한 것의 2배로 손익이 나니 뭐 이런저런 다양한 이야기를 들었지만 확실하게 레버리지가 뭔지를 모르기 때문이다. 거기에 레버리지에 관해 겁을 주는 기사는 정말 쏟아진다. 레버리지가 무조건 수익률을 두 배로 만드는 장치일까? 도대체 어떤 메커니즘으로 저런 말이 나왔을까? 우리 문송한 투자자들의 관점에서 알아보자. 2. 레버리지의 의미 1) 레버리지 비율 계산 레버리지는 우리가 일반 검색에서 쉽게 볼 수 있는 것처럼 지렛대로 이해하면 된다. 내가 투자한 돈보다 실제로 더 많은 돈이 투자된 효과를 내는 것이라고 보면 된다. 어떻게 하면 내가 투자한 돈보다 포트폴리오 금액이 ..
-
PER과 PBR 은 진짜 쓸모가 있는 지표인가?금융정보/01.유가증권(주식 채권 등) 2020. 8. 12. 02:37
1. 우리는 PER/PBR을 보고 투자가 가능한가? "PER/ PBR" 정말 많이 들어본 단어다. 궁금해서 막상 인터넷 뒤져보면, 한글 번역과 무엇의 약자인지는 나오는데, 우리같은 문송한 투자자들이 이해하기에는 너무 어렵다. 그래서 이하에서는 기업공시사이트( fss.dard.or.kr ) 에 있는 연결재무제표 하나를 이용해서 직접 PER과 PBR을 구해보려고 한다. 2. 다트에서 기업공시자료 구하기 기업 중에서 외부감사 대상 법인이면, 감사보고서를 공개하고, 등록법인 & 공개법인이면 사업보고서를 공개하고, 공개법인이면 반기/분기마다 현황 보고서를 공개한다. 결국 ㄱ잡주에 투자하지 않는 이상, 우리들이 투자하는 회사의 재무제표가 인터넷에 공시되어 있고, 그것을 볼 수 있는 것이 기업공시사이트( fss.da..
-
[재테크상식]요즘 ETF가 대세인 이유 !금융정보/01.유가증권(주식 채권 등) 2020. 8. 8. 18:15
1. "핫"한 ETF 재테크에 관심 없는 누구라도 "ETF"라는 말은 한 번쯤 들어봤을 것이다. 그리고 개인투자가 활발해진 요즘 ETF는 해외주식만큼 "핫"하다. 아무리 문송한 투자자라도 사람들이 계속 ETF 좋다고 하니까 증권사 그냥 찾아가서 물건 사듯이 "ETF 아무거나 주세요" 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그래서 이번엔 문송한 투자자들을 위해 ETF가 뭔지 핵심만 알아보려고 한다. 2. ETF 상장된 "펀드"다. ETF 는 "영어 약자로 Equity Traded Fund네 뭐네", "주식과 펀드의 성격이 합쳐졌네", "공시가 투명하네" 등의 설명하는 글이 정말 많다. 사실 다 맞는 이야기지만, 우리 문송한 투자자들에겐 너무나 복잡한 이야기이다. 우리가 기억해야 될 건 딱 하나 "ETF는 상장된 '펀드'..
-
선물환 가격 결정 방법 : 스왑포인트의 이해금융정보/03.외환(FX) 2020. 8. 5. 00:38
1. 가깝고도 먼 선물환의 개념 선물환은 사실 매우 친숙한 용어이다. 그리고 수없이 많은 검색 매체에서 선물환 거래의 개념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 이를 종합하면, 선물환은 보통 미래의 시점에 특정한 가격에 특정한 금액을 거래하는 것으로 설명된다. 그리고 보통은 무슨 농산물 선물 거래 등의 사례로 이어진다. 미래에 어떤 물건을 가격을 정해놓고 사고파는 건 정말 많이 들어서 알겠는데, 도대체 이런 거래는 어떻게 이루어지고 어디에서 이루어진단 말인가? 우리가 어떤 상품을 미리 사고파는 계약을 하느냐에 따라서 거래 방식과 거래 장소가 달라지지만 이 글에서는 선물환에 국한해서 보겠다. 선물환에 국한해서 보면, 보통 이런 거래들은 미래에 달러를 대량으로 주거나 받게 될 수출/수입업체들이 주로 한다. 그리고 이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