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퀀트/자산평가&프로그램매매
-
지수보간법 연습금융퀀트/자산평가&프로그램매매 2021. 7. 2. 00:15
지수보간법 기초개념 연속 복리의 가정 우리가 보통 아는 선형 보간법은 아래와 같이 X와 Y 사이에 직선을 그어서 그 비율이 같음을 이용한다. ( 선형보간법 연습 참조) 즉, 우리가 Xa와 X1의 거리를 모른다면, Y1 과 Y2의 거리와 Ya와 Y1의 거리의 비를 이용해서 위 식과 같이 그 거리를 구해낼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연속복리를 가정할 경우, 더 이상 위와 같은 단순한 선형 관계는 성립하지 않는다. 즉, Y의 변화가 연속적이라면 우리는 Y의 변화율을 자연로그 함수 위에서 생각해 주어야 한다. 그림 1처럼 단순히 X와 Y 사이에 직선을 그어서 관계를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그 Y에 자연로그를 취한 값의 변화율을 이용해서 X 값의 변화율을 계산해야 하는 것이다. 지수보간법으로 값 찾기 그림 2에서 구..
-
Bootstrapping 2: 선도 금리 만들기 실습금융퀀트/자산평가&프로그램매매 2021. 2. 10. 02:15
1. 선도 금리의 의미 우리는 앞선 글에서 "Bootstrapping"으로 무이표금리 커브를 계산해 보면서 금융에서 Bootstrapping이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실습해 보았다. 그런데 이 Bootstrapping은 무이표금리 커브를 만드는 것 외에도 선도금리커브를 만들어 볼 수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우리는 선도금리가 무엇인지 알아야 한다. 그림1에서 처럼 우리는 현재에 2년짜리 계약을 하나 할 수 있고, 1년짜리 계약 하나를 하고 1년 뒤에 다시 1년짜리 계약 하나를 할 수 있다고 가정하자. 현재 시장에서 형성된 1년 만기 계약과 2년 만기 계약의 금리는 알 수 있지만 1년 뒤에 1년짜리 계약을 맺을 때의 금리는 무엇일까? 이것이 선도 금리이고 이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파생상품이 FRA( Forw..
-
Bootstrapping 1: 무이표채 금리 만들기 실습금융퀀트/자산평가&프로그램매매 2021. 2. 10. 00:14
1. 금융에서 붓스트래핑 Bootstrapping 이라는 용어는 통계학, 컴퓨터 등에서 다양하게 쓰인다. 물론 금융에서도 이 용어는 중요하게 쓰인다. 금융 쪽을 전공했거나 이쪽에 조금만 관심이 있어도 하나하나 신발끈을 묶는다는 의미의 "Bootsrapping"이라는 용어 자체는 많이 들어봤을 것이다. 그러나 정작 실제로 "Bootstrapping" 과정을 식으로 적어놓은 것은 익숙할지라도 실제 데이터로 어떻게 "Bootstrapping"을 하는지 보여주는 책은 많지가 않다. 우리는 이하에서 "Bootstrapping"과정을 통해서 무이표채 금리와 선도금리를 직접 만들어보면서 어렴풋이 알고 있었던 "Bootstrapping"이라는 용어를 확실하게 이해하려고 한다. 2. 기초 데이터 설정: 무이표채 금리가 ..
-
선형보간법 연습금융퀀트/자산평가&프로그램매매 2021. 1. 10. 17:46
가치평가에 있어서 보간법의 사용 국채의 가치를 평가한다고 생각해 보자. 국채 1년 물, 3년 물, 5년 물의 가격은 들어봤어도 3년 6개월 물, 1년 2개월 물의 구체적인 가격은 들어보지 못했을 것이다. 하지만 실무에서 우리는 잔존기간이 3년 6개월이 남았는 3년 5개월이 남았든 해당 채권에 대한 가치 평가를 위한 가격을 계산해야 된다. 해당 잔존기간에 대한 가격(금리)도 없는데 어떻게 평가를 할 수 있을까? 이때 쓰이는 것이 보간법이다. 위 그림1 처럼 시장에 있는 1년 물, 5년 물 가격을 갖고 3년 10개월 물의 금리( 혹은 가격)를 추론해 내는 것이다. 이런 보간법 중 가장 기초적인 개념이 바로 선형 보간법이다. 선형 보간법의 기초개념 아무리 수학이 싫은 문송한 우리들이라도 위 그림은 본 기억이 ..
-
선물환평가(Forward): 스왑포인트를 이용한 평가금융퀀트/자산평가&프로그램매매 2021. 1. 10. 16:59
1. 선물환 평가를 위한 기본 프로세스: MTM(Mark to market)의 계산 1) MTM의 개념 어떤 선물환 계약을 했다고 가정하자. 일정한 시간이 지난 뒤 "시장의 각종 가격들로 계약의 가치를 평가하면 얼마일까?"를 계산한 것이 MTM(Mark to market)이다. 그렇다면 선물환의 계약의 가치는 어떻게 알 수 있을까? 다양한 접근법이 있을 수 있지만, "기존의 계약으로 발생하는 포지션을 없애주는 반대 거래를 했을 때 얼마 손익이 발생하는가?"로 접근할 수 있다. 즉, ① 2020-12-08에 체결한 2021-02-08 만기에 10만 달러를 달러당 1,100원에 사기로 한 계약을 2021-01-08에 평가할 경우, ② 2021-01-08에 2021-02-08 만기에 10만 달러 팔기로 한 계..
-
샤프지수(Sharpe Ratio): 얼마나 덜 쫄리게 많이 벌었나?금융퀀트/자산평가&프로그램매매 2020. 9. 27. 17:39
1. 내 투자자산은 얼마나 성과를 내었나? 우리 같은 일반인들은 보통 투자할 때 수익률을 주로 본다. 아니 수익률만 본다. 떡락과 떡상을 반복하며 마음 졸였던 지난날들은 붉은색 ( + ) 수익 표시에서 눈 녹듯이 사라진다. 혹은 푸른색 ( - ) 표시만 보고 그동안의 떡락과 떡상은 생각도 안 하고 존버만을 기약하기도 한다. 하지만 진짜 투자자산의 성과는 위험이라는 변수를 고려해야 한다. 그리고 투자에 있어서 이 위험이라는 변수는 보통 표준편차라는 것으로 측정한다. 중고등학생 때의 기억을 떠올려 보면 뭐 평균에서 얼마나 떨어져 있는가? 에 대한 분포를 측정하는 것이라고 한다. 우리가 알아야 할 것은 이 표준편차가 크면 클수록 변동성이 크다는 뜻이고 ( 변동성이 크면 클수록 투자자인 우리들의 심장은 쫄깃해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