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상계엄령은 외환시장을 어떻게 움직이나?최신이슈 2024. 12. 7. 19:07반응형
계엄령 당시 외환시장 움직임
2024.12.03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했다.
기사1: MBC뉴스 (https://imnews.imbc.com/replay/2024/nwtoday/article/6662895_36523.html PM0651) 비상계엄의 정치적, 법적인 적절성의 문제는 논외로 하고 계엄선포는 외환시장에 큰 영향을 주었다. 정확하게는 원화의 가치에 큰 영향을 주었다.
그림1: 비상계엄 상시 환율변화 새벽 2시 까지 열리는 외환시장에서 밤 10시 계엄이 선언되었을 때 환율이 1,440.00원까지 올랐다. 비상계엄선언이라는 것은 한국이라는 시장의 정치적인 불안정성을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에 원화절하가 급격하게 일어난 것이다. 위 그림 1을 보면 계엄선언 당시인 10시쯤 환율이 급격하게 올랐다가 6시간 뒤 비상계엄 선포가 해제되자 다시 1,410.00 원 대로 떨어진 것을 볼 수 있는데, 비상계엄이 해제는 되었기 때문에 당장의 불안정성은 해소된 것으로 시장 참가자들이 해석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당국의 외환시장 안정화 노력
외환 당국의 외환시장 개입
2024.12.04 장이 개장하고, 환율은 1,410.00 원 대를 유지했다. 환율이 오르려고 하면 떨어지는 상황을 반복했는데, 외환 당국의 개입이 직접 개입이 중간중간에 있었을 것이다. 아래 그림 1의 2024.12.04 그래프의 주황색 부분, 2024.12.05 그래프의 주황색 부분이 개입이 의심되는 부분인데, 호가가 왔다 갔다 하는 것 없이 급격하게 떨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림2: 2024.12.04 ~ 2024.12.05 원달러 환율 그래프(출처: 서울외국환중개) 2024.12.06에도 군인권센터 2차계엄령 관련 정보에 따라서 환율이 급격하게 뛰었지만 외환당국이 주황색 부분에서 개입을 하면서 1,430 원 선의 저항선을 만들어 주었다고 보인다.
그림3: 2024.12.06 원달러 환율 그래프(출처: 서울외국환중개) 외환시장 개입과 원화유동성
비상계엄을 수습하는 과정에서 RP매입 등을 통해서 원화유동성을 늘린다는 기사가 등장하는데, 이는 직접적인 외환개입을 시사하는 의미도 있다.
기사2: 매일경제 (https://www.mk.co.kr/news/economy/11186060 PM0658) 외환당국이 원달러 상승 압력을 방어하기 위해서는(달러 매입이 지나치게 많은 상황이니까) 달러매도 거래를 해야 하는데, 그 과정에서 당국이 시장의 원화를 많이 흡수할 수 있다.(달러를 매도하면서 시장의 원화를 받아가기 때문에) 원화 유동성 부분도 중요하기 때문에 위 기사 2에서 60조라는 금액을 정할 때 외환시장 개입에 대한 영향까지 고려가 되었을 것이다.
비상계엄과 FX스왑시장
비상계엄이 일어나면 외국인들은 미래에 내가 달러를 받을 수 있을까? 라는 의심을 하게 된다. 원화가치는 급락하고, 국가 신용도도 걱정되기 때문이다. 단순 현물환 시장이 아니라 선물환 시장도 영향을 받는다.(환율의 기초: 현물환과 선물환의 차이 참조) 외국인들이 선물환시장에서 미래에 달러를 사겠다는 거래를 하기를 꺼리게 되고, 이런 시장에서는 BID 물량이 없어지는 결과가 나온다.
반응형'최신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Term SOFR 와 Compounded SOFR (0) 2024.11.16 금융투자소득세가 무엇일까? 어떤 일이 일어날까? (0) 2024.06.18 부동산 PF 이슈: 새마을금고 이슈와 레고랜드 이슈 알아보기 (0) 2023.12.21 실리콘벨리은행(SVB은행)이 망한 이유 (0) 2023.03.12 엔화는 안전자산이 더 이상 아닐까? (0) 2022.0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