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ISDA 계약 기초: ISDA Master Agreement
    금융정보/02.파생상품 2025. 1. 1. 21:52
    반응형

    ISDA 계약의 의미와 구조

    거래소에서 거래되는 장내파생상품이 아닌 장외파생상품을 거래하기 위해서 보통은 거래 당사자 간에 ISDA 계약을 맺는다. 장외파생상품 거래를 해 본 일반 사업자들도 ISDA는 생소할 수도 있는데, 그 이유는 일반 사업자가 금융기관과 장외파생상품 거래를 할 때는 ISDA 계약서를 모델로 만든 "장외파생상품거래 기본계약서"를 널리 사용하기 때문이다.(아래 그림 1처럼 금융기관마다 표준 양식이 조금씩 다르다.)

    그림1: 금융기관별 장외파생상품거래 기본계약서

    하지만 보통 금융기관 간 국제 장외파생상품 거래를 할 때는 ISDA 계약서라는 영문으로 된 표준 계약서를 바탕으로 한다. ISDA는 국제스왑 파생상품 협회(International Swaps and Derivatives Association)의 약자이고, 이 ISDA 라는 협회에서 장외파생상품 거래를 위해 만든 표준 계약서를 ISDA 계약서라고 한다.

    그림2: ISDA 계약의 구조

    장외파생상품 거래시 계약의 구조는 위 그림 2와 같다. 거래상대방과 장외파생상품 전체를 아우르는 ISDA Master 계약을 맺고 ISDA Master 계약에 대한 특약을 정하는 Schedule 계약을 맺는다. 거래상대방에 대해 신용보강이 필요한 경우 여기에 신용보강계약을(CSA: Credit Support Annex) 추가한다. ISDA Master, Schedule, CSA 계약이 선행된 뒤에 개별 거래가 일어나면 개별거래 약정인 Confirmation이 발급되면서, 하나의 장외파생상품 계약이 완성된다.

    ISDA Master Agreement-Schedule

    ISDA Master Agreement는 현재 Section 1.Interpretation(해석) ~ Section 14.Definitions(용어의 정의)로 구성된 2002 버전이 일반적으로 사용한다. 구글을 검색하면 아래 그림 3과 같이 ISDA 2002 Master Agreement 가이드를 쉽게 찾을 수 있다. 

    그림3: User`s Guide to the ISDA 2002 Master Agreement

    ISDA 2002 Master Agreement 가이드를 바탕으로 ISDA 계약을 Sections 별로 목차만 정리하면 아래 그림 4와 같이 정리할수 있다. 실제 계약시에는 Master Agreement의 문구는 아예 건드리지 않으며, 모든 변경 사항은 Schedule 계약에서 "Master Section 1(a)를 ~~과 같이 변경한다."는 식으로 반영한다.

    ISDA Master 계약 목차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